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퀴즈/우리말,85

지혜에 관련된 속담 모음 #지혜 속담 #지혜에 관한 속담을 소개합니다. 지혜에 관련된 속담 모음 10가지 #지혜 속담 #대중은 말없는 스승이다 #술이 들어가면 지혜는 달아난다 #사람이 오래면 지혜요 물건이 오래면 귀신이다 #구두장이 셋이면 제갈량의 꾀를 이긴다 #장님이 셋이면 편지를 본다 #참새는 굴레 씌울 수 없지만 호랑이는 길들일 수 있다 #참새 백 마리면 호랑이 눈깔도 빼 간다 #꾀만 있으면 용궁에 잡혀갔다가도 살아 나온다 대중은 말없는 스승이다 평범한 사람으로부터 창조적 지혜와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배우게 된다는 말. 술이 들어가면 지혜는 달아난다 술을 자꾸 마시면 그만큼 머리가 나빠진다는 말. 사람이 오래면 지혜요 물건이 오래면 귀신이다 사람은 오래 살면 살수록 경험을 많이 쌓아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지혜를 얻게 되지만 물건은 오래되면 될수록 쓸데없게 되고 만다는 .. 2020. 11. 30.
專心致之 (전심치지) #마음과 관련된 사자성어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 專心致之 (전심치지) #마음과 관련된 사자성어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 專心致之 (전심치지) 專 (오로지 전): 오로지, 둥글다, 오직 한 곳으로, 마음대로, 섞이지 아니하다. 心 (마음 심): 마음, 염통, 가슴, 한가운데, 도(道)의 본원(本原). 致 (이룰 치): 이루다, 이르다, 극치(極致), 나아가다, 적당하다. 之 (갈 지):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 2020. 11. 29.
奢者心常貧 (사자심상빈) #마음과 관련된 한자성어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 奢者心常貧 (사자심상빈) #마음과 관련된 한자성어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 奢者心常貧 (사자심상빈) 奢 (사치할 사): 사치하다, 자랑하다, 오만하다, 호사, 과장함. 者 (놈 자): 놈, 이, 때, …은, 조자(助字). 心 (마음 심): 마음, 염통, 가슴, 한가운데, 도(道)의 본원(本原). 常 (항상 상): 항상, 법, 불변의 도, 보통, 법도. 貧 (가난할 빈): 가난하다, 가난, 가난한 사람, 적다, 빈곤함.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2020. 11. 29.
1년 12달의 순우리말 표현을 알아보자! #순우리말 날짜 표기 #순우리말 1월 #순우리말 2월 #순우리말 12월 #해오름달 1년 12달의 순우리말 표현을 알아보자! #순우리말 날짜 표기 #순우리말 1월 #순우리말 2월 #순우리말 12월 #해오름달 1월 해오름달 새해 아침에 힘있게 떠오르는 달 2월 시샘달 잎샘추위와 꽃샘추위가 있는 겨울의 마지막 달 3월 물오름달 산과 들에 물오르는 달 4월 잎새달 물오른 나무들이 저마다 잎을 돋우는 달 5월 푸른달 마음이 푸른 모든 이의 달 6월 누리달 온 누리에 생명의 소리가 가득 넘치는 달 7월 견우직녀달 견우, 직녀가 만나는 아름다운 달 8월 타오름달 새해 아침에 힘있게 떠오르는 달 9월 열매달 가지마다 열매 맺는 달 10월 하늘연달 밝은 산에 아침의 나라가 열린 달 11월 미틈달 가을에서 겨울로 치닫는 달 12월 매듭달 마음을 가다듬는 한 해의 끄트머리 달 2020. 11. 19.
자주 틀리는 맞춤법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쓱삭쓱삭 vs 쓱싹쓱싹 중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자주 틀리는 맞춤법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쓱삭쓱삭 vs 쓱싹쓱싹 중 어느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쓱삭쓱삭 vs 쓱싹쓱싹 정답은 쓱싹쓱싹 다음은 올바르게 쓰여진 문장이니, 참고하세요. 나이가 어린 아이에게 줄 선물은 만 원짜리 한두 장으로 쓱싹쓱싹했다. 이번에는 대충 쓱싹쓱싹해서 넘어갈 것 같지는 않다. 2020. 11. 2.
자주 사용하지만 알고보면 우리 말이 아닌 단어들 #소라색 #땡땡이무늬 자주 사용하지만 알고보면 우리 말이 아닌 단어들 #소라색 #땡땡이무늬 소라색 소라색은 하늘이란 뜻의 일본말 소라에서 나온 말이다. 따라서, 하늘색이라고 써야 바른 말이다. 땡땡이무늬 땡땡이무늬의 땡땡이는 낱낱의 점이라는 뜻의 텐텐이라는 일본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물방울무늬로 고쳐쓰는 것이 맞다. 2020. 10. 29.
자주 틀리는 맞춤법 3탄 #붙히다 vs 붙이다 #무난 vs 문안 #뵈요 vs 봬요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맞춤법 바로 알기 자주 틀리는 맞춤법 3탄 #붙히다 vs 붙이다 #무난 vs 문안 #뵈요 vs 봬요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맞춤법 바로 알기 1. 붙히다 vs 붙이다 벽에 스티커를 붙히다. 벽에 스티커를 붙이다. 어떤 것을 맞닿아 떨어지지 않는 것을 표현할 때는 붙이다! 기억하세요! 2. 무난 vs 문안 무난 인사 드립니다. 문안 인사 드립니다. 웃어른에게 안부를 물을 때는 문안! 3. 뵈요 vs 봬요 다음에 뵈요. 다음에 봬요. 다음에 보길 원하는 높임 표현은 뵈어요를 쓰거나 줄임인 봬요 로 표현하세요! 2020. 10. 22.
자주 틀리는 맞춤법 2탄 #대물림 vs 되물림 #안돼니 vs 안되니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한글 맞춤법 올바른 표현 자주 틀리는 맞춤법 2탄 #대물림 vs 되물림 #안돼니 vs 안되니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한글 맞춤법 올바른 표현 대물림 vs 되물림 좋지 못한 것들을 대물림하다. 좋지 못한 것들을 되물림하다. 후손이나 자손에게 무엇인가를 물려주는 것을 표현할 때는 대물림! 기억해두세요! 안돼니 vs 안되니 그렇게 해주면 안돼니? 그렇게 해주면 안되니? 안될까라고 물어보는 어투에서는 안되니로 쓰세요! 왠만하면 vs 웬만하면 왠만하면 그렇게 좀 해주라. 웬만하면 그렇게 좀 해주라. 허용되는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 상태에 있다라는 표현을 할 때는 왠만하면! 꼭 기억해서 우리모두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합시다! 2020. 10. 20.
자주 틀리는 맞춤법 1탄 #설레임 vs 설렘 #단언컨데 vs 단언컨대 #희안하다 vs 희한하다 #다같이 우리말 배웁시다! #우리말 맞춤법 바로알기! 자주 틀리는 맞춤법 3개 #다같이 우리말 배웁시다! #우리말 맞춤법 바로알기! #설레임 vs 설렘 #단언컨데 vs 단언컨대 #희안하다 vs 희한하다 1. 설레임 vs 설렘 나의 설레임은... 나의 설렘은.. 설레는 마음을 표현할 때는 설렘으로 해요 우리! 2. 단언컨데 vs 단언컨대 단언컨데 그건 아니다. 단언컨대 그건 맞다. 아주 확실한 표현을 위해서는 단언컨대를 기억하자! 3. 희안하다 vs 희한하다 그것 참 희안하다. 그것 참 희한하다. 아주 귀할 만큼 드문일을 표현할 때는 희한하다! 기억해요! 2020. 10. 20.
사자성어 공부, 경국지색의 뜻은 무엇일까요? #경국지색 뜻 #사자성어 경국지색 사자성어 공부, 경국지색의 뜻은 무엇일까요? #경국지색 뜻 #사자성어 경국지색 傾 기울 경 國 나라 국 之 갈 지 色 빛 색 나라를 기울일 만한 여자. 첫 눈에 반할 만큼 매우 아름답고 외모가 뛰어난 여자이지만, 나라를 위태롭게 한다는 말. 2020. 10. 16.
[우리말 퀴즈] 사례라는 본 뜻을 지닌 이말은 무엇일까요? 오늘날에는 다양한 관념을 서로 연관시켜 질서 있게 하는 구조를 일컫는 개념을 가리키기도 하는데요 [우리말 퀴즈] 사례라는 본 뜻을 지닌 이말은 무엇일까요? 오늘날에는 다양한 관념을 서로 연관시켜 질서 있게 하는 구조를 일컫는 개념을 가리키기도 하는데요. Q. 본래의 뜻은 사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다양하면서도 한편 서로 무관한 듯한 것들을 가리키는 이 말은 무엇일까요? 다양한 관념을 서로 연관시켜 질서 있게 하는 구조를 일컫는 개념이라고도 하죠. A. 패러다임 (paradigm) 2020. 9. 27.
[우리말 퀴즈] 본래는 체코의 서부 지방을 일컫는 지명인 이 단어는 무엇일까요? 오늘날에는 사회의 관습이나 규율 등을 무시하고 방랑적이며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은? [우리말 퀴즈] 본래는 체코의 서부 지방을 일컫는 지명인 이 단어는 무엇일까요? Q. 본래의 뜻은 체코의 서부 지방을 일컫는 지명이다. 말 그대로 이 지방의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프랑스 사람들은 이 지방 사람들이 경쾌한 춤을 즐겼고,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며 춤과 노래를 즐긴다고 생각하여 집시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이 지방 사람들은 집시처럼 떠돌아다니지 않는다고 하네요. 이 지방의 사람을 가리키는 말은 무엇일까요? A. 보헤미안(Bohemian) 오늘날에는 사회의 관습이나 규율 등을 무시하고 방랑적이며 자유분방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더욱 알려져 있기도 하죠. 2020. 9. 27.
반응형